알고리즘(BOJ)/Gold

14499 - 주사위 굴리기

ch.0 2023. 1. 13. 21:53


문제이해

주사위를 동,서,남,북 으로 굴리게 되면 윗면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에 대한 소스는 다음과 같다.

	switch (EWSN) {
		case 1:
			temp = dice[1][0];
			dice[1][0] = dice[3][1];
			dice[3][1] = dice[1][2];
			dice[1][2] = dice[1][1];
			dice[1][1] = temp;
			break;

		case 2:
			temp = dice[1][0];
			dice[1][0] = dice[1][1];
			dice[1][1] = dice[1][2];
			dice[1][2] = dice[3][1];
			dice[3][1] = temp;
			break;

		case 3:
			temp = dice[0][1];
			dice[0][1] = dice[1][1];
			dice[1][1] = dice[2][1];
			dice[2][1] = dice[3][1];
			dice[3][1] = temp;
			break;

		case 4:
			temp = dice[0][1];
			dice[0][1] = dice[3][1];
			dice[3][1] = dice[2][1];
			dice[2][1] = dice[1][1];
			dice[1][1] = temp;
			break;

		}

 

 

전체소스

package test;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length, wide;
	static int x_point, y_point;

	static int[][] dice = new int[4][3];
	static int[][] array;

	public static void move(int EWSN, int x, int y) {
		int temp;
		switch (EWSN) {
		case 1:
			temp = dice[1][0];
			dice[1][0] = dice[3][1];
			dice[3][1] = dice[1][2];
			dice[1][2] = dice[1][1];
			dice[1][1] = temp;
			break;

		case 2:
			temp = dice[1][0];
			dice[1][0] = dice[1][1];
			dice[1][1] = dice[1][2];
			dice[1][2] = dice[3][1];
			dice[3][1] = temp;
			break;

		case 3:
			temp = dice[0][1];
			dice[0][1] = dice[1][1];
			dice[1][1] = dice[2][1];
			dice[2][1] = dice[3][1];
			dice[3][1] = temp;
			break;

		case 4:
			temp = dice[0][1];
			dice[0][1] = dice[3][1];
			dice[3][1] = dice[2][1];
			dice[2][1] = dice[1][1];
			dice[1][1] = temp;
			break;

		}
		System.out.println(dice[1][1]);
		if (array[x][y] != 0) {
			dice[3][1] = array[x][y];
			array[x][y] = 0;
		} else {
			array[x][y] = dice[3][1];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length = Integer.parseInt(st.nextToken());
		wid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x_poin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y_poin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repea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ay = new int[length][wide];

		for (int i = 0; i < length;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for (int j = 0; j < wide; j++) {
				array[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for (int t = 0; t < repeat; t++) {
			int inpu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 (input) {
			case 1:
				if (y_point < wide - 1)
					y_point++;
				else
					continue;
				break;

			case 2:
				if (y_point > 0)
					y_point--;
				else
					continue;
				break;

			case 3:
				if (x_point > 0)
					x_point--;
				else
					continue;
				break;

			case 4:
				if (x_point < length - 1)
					x_point++;
				else
					continue;
				break;
			}

			move(input, x_point, y_point);
		}



	}
}

 

문제를 이해하고 풀이과정을 선택함에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처음에는 윗면이 1일때 동서남북으로 움직이게 되면 아래의 수와 윗면의 수를 이미 정해놓으려고 했다.

여기서 문제점은 동남 으로 했을때 주사위가 옆으로 돌게되면서 미리 정해놓은 수랑 달라지게 된다는 거였다. 

그래서 주사위는 그대로 두고 숫자를 움직이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 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예제 입력 1 

4 2 0 0 8
0 2
3 4
5 6
7 8
4 4 4 1 3 3 3 2

예제 출력 1 

0
0
3
0
0
8
6
3

예제 입력 2 복사

3 3 1 1 9
1 2 3
4 0 5
6 7 8
1 3 2 2 4 4 1 1 3

예제 출력 2 복사

0
0
0
3
0
1
0
6
0

예제 입력 3

2 2 0 0 16
0 2
3 4
4 4 4 4 1 1 1 1 3 3 3 3 2 2 2 2

예제 출력 3

0
0
0
0

예제 입력 4

3 3 0 0 16
0 1 2
3 4 5
6 7 8
4 4 1 1 3 3 2 2 4 4 1 1 3 3 2 2

예제 출력 4

0
0
0
6
0
8
0
2
0
8
0
2
0
8
0
2